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Blog2

개인 블로그 만들기를 위한 여정6 - 사이트 deploy 오랜만에 개인블로그를 만들기 위한 여정에 대한 포스팅을 합니다.블로그를 어느 호스팅으로 올릴 것인지, 호스팅할 수 있는 곳을 검토해봅니다.플랫폼 비교비용은 무료인 곳으로만 알아보았습니다.결론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비교를 통해, cloud flare page를 선택하였습니다.플랫폼평가github iostatic site를 계정당 하나만 운영가능함netlifydeploy외 특별히 쓸만한 기능 없음.firebasedb 관련서비스 사용하게 될 시, 타 플랫폼에서 못쓰는 종속성 존재dothome 무료호스팅traffice 제한(300MB)로, 너무 적음. 이미지라도 있다면..cloud flare pagedomain관리, cache 등 다양한 cloud flare 서비스도 같이 사용가능 github 생성및 upload.. 2024. 12. 19.
개인 블로그 만들기를 위한 여정2 - hexo 시작하기 nodejs 설치 hexo를 시작하기전, nodejs 설치가 필요합니다. https://nodejs.org/ 를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바로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링크가 나옵니다. 개인적으로 최신버전보다는 LTS 버전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LTS는 Long Term Support의 약자로, 장기간 해당 버전에 대한 지원을 해준다는 의미입니다. (지원이란 버그 수정등을 일컫습니다) 링크로 설치파일을 다운및 실행하고 next를 계속 누르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git 설치 git설치도 간편합니다. 아래 주소에서 설치파일을 다운및 실행하고 next를 계속 누르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https://git-scm.com/download/win hexo 설치 nodejs가 설치가 되면 이제 hexo를 설치할 수.. 2023. 10. 30.
반응형